본문 바로가기
이슈

아스트라제네카 30대 남성 사망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아스트라제네카백신 부작용 사망 원인

by issue-watch 2021. 6. 17.

 

 

아스트라제네카 30대 남성 사망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아스트라제네카백신 부작용 사망 원인

 

 

아스트라제네카 30대

국내에서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두 번째로 아스트라제네카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이 확인된 30대 초반
아스트라제네카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접종 당국은 숨진 사례자의 이상반응 발생과 아스트라제네카 사망 까지의 경과를 전문가들과 검토한 후
접종 관리 방안 등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개선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국내 두 번째 아스트라제네카백신 부작용으로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TTS·Thrombosis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확정 사례 접종자가 16일 오후 2시10분께 숨졌다고 밝혔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사망은 두 번째 사례는 30대 초반 남성으로 전해졌으며
잔여 백신으로 5월27일 아스트라제네카-옥스퍼드대(AZ)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했다고 합니다.

접종 9일 후인 지난 5일 아스트라제네카백신 부작용 으로 인해
심한 두통과 구토 증상이 발생해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았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습니다.

 

 



12일이 지난 8일에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부작용으로 인해 증상이 악화하고 의식이 저하되는 변화가 있어
상급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았으며 검사 결과 혈소판 감소, 뇌 영상검사에서 혈전, 출혈 등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이 의심돼
치료하면서 항체 검사를 진행했고 15일 항체검사에서 양성이 확인되었습니다.

 

 


양성 당일인 15일 해당 사례에 대해 혈액응고장애 전문가 자문회의를 한 결과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확정 사례에 부합함을 재확인하게 되었으며 이상반응조사지원팀장은

이날 오후 온라인 기자 설명회에서 "(환자는) 현재 중환자실에서 치료 중 이며
경과에 대해선 지방자치단체, 의료기관과 정보를 공유하며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추진단은 확정 사례자가 이날 오후 2시10분께 아스트라제네카 사망 했다고 발표했으며
숨진 확정 사례자는 기저질환이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사망 원인

아스트라제네카 사망 원인에 대해서 살펴보면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두번째 사례이며 기저질환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추진단 관계자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분들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역학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접종 이후 이상반응 발생과 사망까지의 경과를 전문가들과 함께 검토해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개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스트라자네카 30대 사망 원인에 대해서 "이 환자의 확인된 기저질환은 없으며
사망진단서상 직접사인은 뇌출혈로, 뇌출혈의 원인은 대뇌정맥동 혈전증이며
대뇌정맥동 혈전증의 원인은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부작용으로 알려진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사례가
국내에서 확인된 것은 지난달 31일 발표된 첫 사례에 이어 두 번째 입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아스트라제네카부작용
#아스트라제네카백신
#아스트라제네카백신부작용
#혈소판감소성혈전증
#혈전증
#아스트라제네카30대
#아스트라제네카사망
#아스트라제네카사망원인
#아스트라제네카백신사망원인

 

댓글